본문 바로가기
- 질환과 치료 이야기

신우요관폐색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by soyU.U 2020. 10. 14.

신우요관폐색(UPJ obstruction)


증상

요로감염, 구토, 혈뇨, 옆구리 통증


관련질환

수신증


진료과

비뇨의학과, 소아비뇨의학과


동의어

신우요관폐색증




신우요관폐색 정의


신우 요관 폐색이란 신장의 일부인 신우와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이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천적으로 아기가 자궁에서 성장하는 동안 신우 요관 폐색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관과 신우 사이의 연결이 좁아져 신장의 손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신생아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아동이나 성인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신우요관폐색 원인


태아의 경우 혈관이 요관에서 적절하지 못한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 이나 성인의 경우에는 조직의 손상이나 감염, 이전의 치료 또는 신장 결석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우요관폐색 증상


요로 감염이 동반되면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구토나 식욕부진이 나타나기도 하고,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질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신우 요관 연결 부위의 근육 발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연동운동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요가 정체되어 압박을 주기 때문입니다. 


성인의 경우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옆구리나 등쪽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아에서는 수신증이 있더라도 실제로 폐색이 없는 경우도 있고 폐색이 호전 되는 경우도 있어서 바로 수술하기 보다는 추적 관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신우요관폐색 진단/검사


> 배설성 요로조영술(IVU)

- 조영제가 신장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되는 특징을 이용한 검사로 조영제를 정맥으로 주입한 후, 엑스레이 촬영으로 배설되는 과정을 관찰하게 됩니다. 이를 통하여 신우, 요관, 방광 등 요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됩니다.




> 신장 스캔(renal scanning)

- 방사성 핵 표지 물질을 체내에 주사해서 신장으로 들어간 핵표시 물질의 방사선을 체외에서 계측합니다. 이를 통하여 신장의 윤곽 묘사, 신혈류량 및 신기능의 측정, 요의 방광요관 역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단층촬영(CT)

- 최근에는 컴퓨터단층촬영(CT)를 이용한 요로조영술을 통하여 원인을 감별하는데 많은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신우요관폐색 치료


폐색이 분명하고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신우요관 폐색 시 수술은 폐색이 있는 신우요관 연결 부위를 잘라내고 다시 연결해 주거나 내시경을 이용한 확장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수술 부위에 가느다란 카테터를 놓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아의 경우 작은 절개를 통한 개복술을 시행하며, 성인의 경우 흉터부위를 최소화 하기 위한 복강경 혹은 로봇보조 복강경 수술을 시행합니다. 절개가 없는 내시경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개복술의 경우 입원기간이 길고 수술 후 회복이 느린 편이기 때문에,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이 점차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신우요관폐색 경과/합병증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경우 장기적으로도 큰 문제 없이 생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될 경우 요로감염, 요로결석, 혈뇨, 신기능 저하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