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
증상
멍, 무뇨, 오심, 피로감, 혈변, 소변량 감소, 혼수, 피부소양감, 전신 부종, 출혈 경향성
관련질환
신부전,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진료과
신장내과, 소아신장과, 신ㆍ췌장이식외과
동의어
말기 신장(콩팥)병
말기 신질환 정의
급성 신부전이 치료가 되지 않거나 만성신부전이 진행되어 신장기능의 10% 미만이 남은 상태를 말기 신질환이라고 합니다.
말기 신질환에서는 몸 안의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할 수가 없어서 복막투석, 혈액투석 등을 받지 않으면 생명의 유지가 힘들며, 투석을 피하기 위해서는 신장을 이식해야만 합니다.
말기 신질환 원인
당뇨, 사구체 신염, 유전성 낭성 질환, 고혈압이 말기 신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기타 많은 신장 질환이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말기 신질환 증상
- 요독증상 : 졸음, 혼미, 피로, 구역질, 구토, 피부가려움증, 수면장애
- 빈혈증상 : 얼굴, 입술이 창백해지고 쉽게 피로해짐
- 부종 : 얼굴, 손, 다리, 발 의 부종
- 고혈압
- 식욕부진
- 숨쉴때 불쾌한 냄새가 남
말기 신질환 진단/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신장 초음파검사 등을 통해 말기 신부전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요소질소 농도(BUN: Blood urea nitrogen), 혈중 크레아틴 농도(Cr:Creatine)의 상승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구체 여과율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채집 검사 결과 사구체 여과율이 15ml/분 이하로 나타나며 급성신손상의 소견이 없다면 말기 신장병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신장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상 신장이 위축되어 있는 것도 말기 신부전을 나타내는 소견입니다.
말기 신질환 치료
- 식이요법 및 약물요법
신장의 기능이 나빠졌다 하더라도 말기 신부전증에 이르기 전 까지는 식이요법과 약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약물로 증상을 조절하고 고혈압과 당뇨 등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치료합니다. 염분을 적게 섭취하고 단백질을 제한하는 것은 신장기능의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 투석
말기 신장병이 진행하여 신장의 기능이 5%(사구체 여과율 10ml/min) 이하로 감소하면 의료진과 상의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신장 기능을 대신하는 투석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투석은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으로 나뉘는데, 복막투석은 투석액을 복막으로 흘려넣어 복막에서 노폐물을 걸러주는 방법입니다. 혈액투석은 혈액 투석기를 이용하여 혈액내의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신장이식
말기 신장병에 대한 최선의 치료법으로 정상인 혹은 뇌사자의 신장 중 하나를 환자에게 수술적으로 이식 합니다.
말기 신질환 경과/합병증
말기 신장병에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노폐물이 체내에 쌓여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투석시에는 저혈압, 근육경련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요독이 매우 높았던 환자에서 초기에 투석을 많이 시행할때 오심,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혈액투석을 받기 위해 만든 동정맥루에 협착이 생기거나 혈전이 생기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장이식을 받은 후에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식된 신장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을 수 있고,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투여하는 면역억제제에 의해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기 신질환 예방/생활습관
말기 신장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만성신부전 단계에서 신장기능의 보존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장은 한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약물치료와 식이요법으로 신장기능이 나빠지는것을 최대한 늦춰야 합니다. 혈압을 잘 조절하고, 저염식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독성이 있는 약물(일부 항생제, 조영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성분 미상의 한약제 등)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약 처방을 받을 때 자신의 질병을 반드시 알리도록 합니다.
말기 신질환 FAQ
Q. 복막투석과 혈액투석 중 어느것이 더 효과적인가요?
A. 복막 투석과 혈액 투석 모두 효과적인 신대체 요법입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본인의 생활 방식및 기저질환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시면 됩니다.
Q. 땀에서 냄새가 심하게 납니다. 원인이 무엇인가요?
A. 말기 신부전 환자의 침에서 요소가 암모니아로 분해 되면서 요독성 구취라는 증상이 있을수는 있으나 땀에서 나는 냄새만으로 특정 질환을 의심하기는 어렵습니다. 이전과 다르게 증상이 심해졌다면 신장, 간 등의 질환 여부에 대해 내과 진료를 권유해 드립니다.
Q. 장기이식 신청을 할 경우 평균 대기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 연령, 혈액형및 기타 검사 소견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신장 이식의 경우 평균적으로 5년 정도 입니다.
Q. 말기 신질환에서도 임신이 가능한가요?
A. 투석중인 말기 신질환의 경우 임신의 가능성이 낮고 유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임신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시 피임이 필요합니다. 의학적으로 투석 환자에서 임신은 권해지지 않습니다. 이식을 받는 경우 임신과 출산이 가능할 수 있으나, 수술 후 1년은 임신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전문의사와 상의가 필요 합니다.
'- 질환과 치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민성 방광 원인과 증상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0.10.14 |
---|---|
신우요관폐색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10.14 |
급성 신우신염 원인 증상 알아보기 (0) | 2020.10.14 |
부신종양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09.09 |
부고환염 원인 증상 검사법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0.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