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과 치료 이야기

장중첩증 증상 수술 및 치료방법 알아보기

by soyU.U 2020. 7. 30.

장중첩증(Intussusception)의 증상과 원인, 진단방법과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상

복부 통증, 혈변, 덩어리가 만져짐, 구토, 점액변


관련질환

복부 통증, 장폐색, 장유착, 장염전


진료과

산부인과, 소아외과


동의어

장겹칩증,창자겹침증




정의


장중첩증은 마치 망원경을 접을 때처럼 장관의 일부가 장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장이 겹치게 되면 음식이나 액체가 통과하지 못하게 됩니다. 종종 장관의 일부로 가는 혈류를 막기도 해서 장이 찢어지거나 장 조직이 괴사하기도 합니다. 장중첩증은 3세 이하의 영유아의 장폐색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비교적 성인에게는 드문 편인데, 성인의 경우에는 종양과 같은 기존 질환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갈 때 갑자기 굵어지므로 소장의 맨 아랫부분인 회장이 대장의 앞에 위치한 맹장으로 말려들어가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 원인


대다수에서 장중첩증에 대한 원인은 잘 밝혀져 있지 않으나 일부 경우에서 장중첩증은 용종이나 종양과 같이 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졌을 때 발생합니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대부분 확실한 원인을 알 수 없으나 가을과 겨울에 호발하고, 감기와 같은 증상이 동반되기 때문에 어떤 바이러스가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장 말단의 두께의 차가 크거나, 이 부위의 임파절 조직이 두꺼워져 있는 경우도 있으며, 장염, 식이의 변화 및 장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서 장의 운동이 증가되어 일어나기도 합니다. 성인의 경우에는 종양, 장의 유착, 수술로 인한 상처, 혈종, 크론병과 같은 질환으로 인한 염증반응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 증상


복통

- 영유아들은 복통으로 인해 갑작스럽고 크게 울면서 무릎을 그들의 가슴쪽으로 잡아당기는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초반에는 15~20분 간격으로 통증이 일어나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자주 일어나고 더 오래 지속됩니다.


▷ 혈액과 점액이 섞인 대변

- 처음에는 정상 대변을 볼 수 있으나 발병 12시간 이내에 특징적인 끈끈한 점액성의 혈변이 약 60%의 환자에서 관찰됩니다.



▷ 구토

- 처음에는 먹은 것을 토하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장폐쇄증의 증상인 초록색 담즙성 구토로 변하게 됩니다.


▷ 기타

- 이외에도 오심, 복부의 소세지 모양의 덩어리, 무기력함, 설사, 발열, 변비가 나타나게 됩니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 진단/검사


복부 X선 촬영으로 장관 내의 가스 분포를 확인하거나 장폐색을 확인하여 장중첩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복부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초반에는 탈수를 막기 위해 수액을 유지하면서 비위관을 통해 감압을 하게 됩니다. 보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바륨 및 공기 정복술을 하거나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바륨 및 공기 정복술은 아동에게 많이 사용하고 항문을 통하여 공기나 조영제를 넣어 장관 내 압력을 증가시켜 중첩된 장을 풀어 주는 방법으로 90% 정도의 성공률을 보이며 기질적인 원인이 없거나 장 천공, 장 괴사 등의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장이 찢어졌거나 정복술에 실패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중첩된 장을 손으로 밀어서 빼내고, 필요한 경우에는 장의 일부를 절제하게 됩니다. 일부 경우에서는 장중첩이 일시적이고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경과/합병증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장중첩증의 경과는 매우 좋은 편입니다. 치료에 성공한 이후 재발하는 경우는 10%미만으로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는 더욱 드뭅니다. 합병증 없이 치료에 성공했을 때는 특별한 문제없이 이전과 같은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은 상태로 지속되면, 혈류 부족으로 인해 장벽이 괴사하게 되고 이것은 장 천공을 유발하여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드물게 공기 및 조영 정복술 시행 과정에서 장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정복술 후 장 중첩이 재발하기도 합니다.


■ FAQ


Q. 장절제술 후 장중첩증 문제는 없나요?

A. 꼭 장절제술을 받았다고 하여 장중첩증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Q. 아기 때 정복술로 잘 치료 되었는데,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 장중첩증 때문에 문제가 있진 않을까요?

A. 장중첩증은 소아기때 생길수 있고 이것이 성인 시기때의 장중첩증까과 연관되지는 않습니다.


Q. 장중첩증에 좋은 음식은 무엇이 있나요?

A. 특별히 장중첩증을 유발하는 음식은 없으며 장중첩증에 좋은 음식 또한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