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의 원인과 증상, 진단방법 및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상
단백뇨, 전신 부종, 혈뇨
관련질환
신증후군, 미세변화 신증후군
진료과
신장내과, 소아신장과
동의어
급성사구체신염,만성사구체신염,신염,신장염
■ 정의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사구체나 작은 혈관들의 염증을 특징으로 갖는 일차성 또는 이차성의 면역매개성 콩팥 질환입니다.
혈뇨나 단백뇨만의 증상을 나타내거나 신증후군, 신염증후군, 급성신장부전, 만성신장부전 등의 형태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 원인
일차적인 원인은 신장 자체에서 기인하는 내인성입니다.
이차적인 원인은 대사장애, 혈류역학적 손상, 독성물질, 감염 및 유전 등의 전신 질환에 동반한 신장 손상 입니다.
■ 증상
사구체신염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처음 발생하는 증상은 주로 소변 검사의 이상입니다. 혈뇨가 심한 경우 소변 색깔이 콜라색이나 붉은 색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단백뇨가 있을 때는 소변에 거품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사구체신염의 증상으로 고혈압, 부종, 만성피로 또는 소변양의 감소를 보이기도 합니다.
■ 진단/검사
진단은 소변 및 혈액 생화학 검사, 혈청검사, 신생검 등으로 내려집니다.
신생검의 경우 특별한 주사기로 작은 조각의 신장 조직을 얻게 되며, 현미경을 이용한 정밀한 관찰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 치료
일차성 사구체질환은 면역억제제 등의 특수한 약물치료가 사용되기도 하며 전신질환과 동반된 이차성 사구체질환은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합니다. 또한 사구체신염은 원인 질환에 따라 약제의 선정, 치료기간, 투여방법이 다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병의 종류나 심각성에 따라 투석이나 혈장교환술과 같은 특수한 치료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 경과/합병증
사구체신염의 경과는 원인에 따라 다르므로 조직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내려져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치료로 완치가 되는 경우도 있고, 여러번 재발을 반복하여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사구체신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높은 혈압에 의한 신장과 다른 장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장의 기능을 상실하는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투석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신부전 상태가 지속되어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하기도 하여 지속적인 투석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예방/생활습관
사구체신염의 경우 특별한 예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정기적으로 소변검사를 하고 혈압측정을 한다면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흡연은 신기능 저하를 가속화시키므로 금연해야 합니다.
■ FAQ
Q. 사구체신염에 필요한 식이요법이 있나요?
A. 단백뇨와 고혈압이 있는 경우 저염식이가 중요하며 경우에 따라 저단백식이가 도움이 됩니다. 고지혈증이 있는경우에는 저지방식이와 지질강하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Q. 사구체신염에 완치라는 개념이 있나요?
A. 사구체신염은 질병마다 경과 및 예후가 달라서 완치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여러번 재발하거나 서서히 또는 급속히 신기능이 나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질환과 치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신부전 증상 원인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0.09.09 |
---|---|
남성 난임 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09.09 |
수신증 증상 원인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0.08.29 |
방광염 원인 증상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0.08.27 |
부종 원인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0.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