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과 치료 이야기

식도이완불능증 원인 증상 수술방법 알아보기

by soyU.U 2020. 8. 11.

식도이완불능증(Esophageal Achalasia)의 원인과 증상, 검사방법 및 치료방법,수술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상

잦은 딸꾹질, 체중감소, 트림, 삼키기 곤란 , 가슴 통증


관련질환

식도암, 위식도 역류성 질환, 폐렴, 식도의 평활근종, 식도 정맥류, 식도염, 바렛 식도, 식도의 이물, 흡인성 폐렴


진료과

소화기내과


동의어

분문연축,식도 무연동증,식도의 근육협동장애,식도의 무연동증


정의


식도이완불능증이란 식도의 연동 운동이 소실되고 안정 시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이 증가하면서 음식물을 삼킬 때 하부식도괄약근이 충분히 이완되지 못하여 음식이 식도 내에 정체되어 삼키지 못하는 것과 더불어 여러 가지 이차적인 증상을 야기하는 질환입니다.


■ 원인


일차성 식도이완불능증은 하부식도괄약근 이완을 담당하는 억제 신경절 세포들의 퇴화와 손상 때문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일차성 혹은 특발성 식도이완불능증과는 달리 식도의 운동 이상을 일으키는 원인 질환이 있을 경우를 이차성 혹은 가성 식도이완불능증이라고 합니다. 


이차성 식도이완불능증을 일으키는 원인 질환은 다양하여 감염성 질환, 식도암, 위암, 폐암 등의 여러 가지 악성 종양, 식도 평활근종, 사르코이드증과 같은 다양한 결체조직질환 등이 있습니다.


■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물을 포함한 유동식이나 고형식의 연하곤란입니다. 


연하곤란은 서서히 시작하여 천천히 진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발병 초기에는 그냥 지내다가 증상이 심해진 뒤에 병원에 오게 됩니다. 


어떤 사람들은 천천히 먹거나 삼킨 후 목을 들거나 어깨를 뒤로 젖혀서 음식이 위로 넘어가도록 하기도 합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흉통,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의 역류, 가슴앓이, 트림 장애, 인두 불쾌감, 딸국질, 연하통, 기도 내 흡입, 체중 감소 등이 있습니다.


■ 진단/검사


식도내압검사와 바륨조영술이 식도이완불능증을 진단하는 첫 번째 검사법입니다. 


식도이완불능증의 경우 바륨을 마신 후 촬영해 보면 식도의 수축운동이 관찰되지 않습니다.


■ 치료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에서 손상된 신경세포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은 없으므로 병 자체에 대한 치료는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와 보튤리눔 독소 주입법은 하부식도괄약근압을 낮추며 풍선확장술과 근절개술은 하부식도괄약근을 기계적으로 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 약물치료

- 근육 이완 효과를 보이는 약물을 사용하여 하부식도괄약근압을 낮추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보툴리늄 독소 주입법

- 보툴리늄 독소를 주입하면 일시적으로 하부식도괄약근을 지배하는 신경을 마비시켜 폐색을 완화시켜 줍니다.


▷ 풍선확장술

- 풍선확장술은 하부식도괄약근을 풍선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확장시켜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 경과/합병증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에서는 장기적으로 식도암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기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 FAQ


Q. 식도이완 불능증은 어떤 증상이 있을 때 의심할 수 있나요?

A. 가장 흔한 증상은 물을 포함한 유동식이나 고형식의 연하곤란입니다. 연하곤란은 서서히 시작하여 천천히 진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발병 초기에는 그냥 지내다가 증상이 심해진 뒤에 병원에 오게 됩니다. 어떤 사람들은 천천히 먹거나 삼킨 후 목을 들거나 어깨를 뒤로 젖혀서 음식이 위로 넘어가도록 하기도 합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흉통,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의 역류, 가슴앓이, 트림 장애, 인두 불쾌감, 딸국질, 연하통, 기도 내 흡입, 체중 감소 등이 있습니다.


Q. 식도이완 불능증은 반드시 수술을 해야하나요?

A. 대부분의 경우 약물치료나 풍선 확장술 등의 시술을 통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Q. 식도이완 불능증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A. 대부분의 경우 약물치료나 풍선 확장술 등의 시술을 통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