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질환과 치료 이야기

과호흡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 알아보기

by soyU.U 2020. 11. 2.

과호흡증후군(Hyperventilation syndrome)의 원인과 증상, 검사방법과 치료방법, 합병증 및 예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과호흡증후군 정의

과호흡증후군은 과도한 호흡을 하여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면서 동맥혈의 이산화탄소가 정상범위 아래로 떨어진는 상태를 말합니다. 동맥혈의 이산화탄소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호흡곤란, 어지럼증, 저림,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과호흡증후군 원인

신체적인 원인과 정신적인 원인이 있습니다.신체적 원인으로는 폐렴, 폐색전증, 폐혈관 질환, 천식, 기흉 등의 폐 자체의 질환,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 대사성 산증, 저산소증, 패혈증, 발열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약물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 혈관질환, 종양 등의 신경계통의 신체적 이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정신적으로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정신적 불안, 흥분, 긴장의 상태에서 과호흡이 발생하여 증상이 나타납니다.

■ 과호흡증후군 증상

수분 이내에 호흡이 빨라져 호흡량이 과도하게 늘어납니다. 몸의 과도한 알칼리화로 인해 전해질 이상이 나타나 어지러움, 감각이상, 손발의 경련,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알칼리증에 의하여 심장 혈관 수축에 의해 심근 허혈, 흉통, 부정맥이 나타나며 뇌혈관 수축에 의해 어지러움, 시각 이상, 경련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실신하기도 합니다.



■ 과호흡증후군 진단/검사

임상증상과 신체검진, 혈액검사, 폐기능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신체검진을 통해 호흡의 양상, 손과 발의 감각과 저림, 경련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동맥혈 가스분석을 통해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감소여부를 확인하며 원인 질환을 밝히기 위해서 폐기능 검사, 심장 검사를 실시합니다.신체적인 질환이 없는 환자는 정신적인 원인에 의한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의 불안증 등을 확인합니다.

■ 과호흡증후군 치료

과호흡증후군이 발생하면 우선 알칼리증을 교정하고 신체적인 질환에의해 유발되었을 경우 원인질환을 치료합니다.알칼리증에 의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 봉지로 코와 입을 막고 자신이 내 쉰 숨을 다시 들이마셔 혈중 이산화탄소를 보충하여 알칼리증을 교정합니다. 다른 원인 질환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에는 원인질환을 치료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정신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 정서적인 안정을 취해야 하며 환자가 자신의 증상이 심각한 것이 아님을 알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 과호흡증후군 경과/합병증

신체적인 질환에 의한 것인 경우 질환이 치료되면 과호흡증후군도 사라지게 됩니다.정신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면 불안 증상이 나타날 때 이에 과호흡증후군 증상이 계속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호흡증후군의 증상으로 인해 환자의 불안이 더 심해지고 이에 과호흡이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심각한 질병이 아님을 알려 안심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과호흡증후군 예방/생활습관

정신적인 원인에 의한 과호홉증후군의 예방을 위해서는 마음의 안정을 갖는 것이 증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증상을 알아두어 과호흡의 경향이 느껴진다면 호흡을 천천히 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