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막성 대장염(위막성 대장염 Pseudomembranous colitis)의 원인과 증상, 검사방법과 치료방법, 합병증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상
백혈구 증가, 열, 복부 통증, 산통, 설사, 혈변
관련질환
대장염
진료과
소화기내과
동의어
거짓막결장염,거짓막잘룩창자염,위막성 대장염,위막성결정염,위박성장염
■ 정의
가막성대장염은 항생제를 투여 받은 사람들 일부에게 나타나며, 소장과 대장의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 원인
장내에는 정상균들이 상주하며, 다른 균들의 번식을 억제하는데,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으로 정상적인 박테리아가 대부분 죽게 되는 경우 장내 상주하였던 일부 박테리아 균들만이 살아남아 번식하여 장염을 일으킵니다.
주요 원인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이라는 균입니다.
가막성 대장염은 수술 후의 합병증이나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증상
항생제 사용 후 갑작스런 설사, 발열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냄새가 나거나 물같은 설사, 점액같거나 혈액이 섞여있는 설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열, 오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산통, 복부팽만감이나 오심, 구토같은 증상을 동반 할 수도 있습니다.
■ 진단/검사
항생제 사용 후 갑작스런 설사, 발열, 산통이나 복부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일단 가막성 대장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보통 대변검사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또는 그 독소를 검출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는 대변검사에서 검출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대장 내시경 검사상 노란색의 위막이 관찰되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치료
가막성 대장염은 항생제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치료의 우선이 되는 것은 원인이 되는 항생제의 복용을 중지하는 것입니다.
그와 동시에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이라는 항생제로 치료하고, 이것에 반응이 없을 때 반코마이신 (Vancomycin)이라는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 경과/합병증
보통 항생제 복용을 중지하고 1~2주가 지나면 증세가 사라지며, 대부분 치료가 잘 됩니다.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쇼크와 심한 탈수, 장관에 구멍이 생기는 천공이 발생하여 복막염으로 진행 될 수 있습니다.
■ FAQ
Q. 가막성대장염으로 인해 투여 중이던 항생제를 중지하면 다른 질병의 치료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A. 다른 질병 치료에 항생제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는 가막성대장염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기존의 항생제를 다른 종류의 항생제로 변경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Q. 다른 장염과 어떻게 감별하나요?
A. 대변검사에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또는 그 독소를 검출함으로써 감별합니다.
'- 질환과 치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췌장염 원인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08.14 |
---|---|
간경화 증상 치료방법 합병증 알아보기 (0) | 2020.08.14 |
헬리코박터균 감염 증상 경로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08.14 |
알코올성 간질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08.14 |
장염전 (장꼬임)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0.08.13 |
댓글